황푸강, 와이탄 야경-중국 상해(상하이)
- 해외여행/아시아권
- 2024. 8. 29.
상하이 황포강을 사이에 두고 서쪽과 동쪽에
근대 유럽과 현대 중국이 마주 보고 있다.
글/사진 GoodphotoLee
상하이 와이탄
중국 상해(상하이)는 황포강을 두고 동쪽(푸동)과
서쪽(푸서)으로 구분되는데 푸서에는 와이탄이 있다.
푸동야경은 동방명주탑이 장관이다.
7시가 되면 와이탄의 유럽 건축물이
조명과 함께 멋진 모습을 뽐낸다.
상하이 와이탄 야경 영상
중국 상하이 와이탄
외국인이 점령한 물가
와이탄은 1.5km에 이르는 강변대로로
1920~30년대 지은 유럽풍 건물이 늘어선 거리다.
당시는 상하이가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의
공동 조계지였던 때이다.
조계지는 외국인의 거주와 영업 등을
허용한 지역을 말한다.
중국 사람들은 이곳을 '외국인이 점령한 물가'라는
뜻의 와이탄이라 불렸다.
와이탄 영국조계
1845년 영국 영사관을 시작
와이탄은 1843년 난징조약으로 상하이가
강제 개항하면서 서양인들이 밀려들어왔다.
와이탄 영국에는 1845년 영국 영사관을 시작으로
1930년 말까지 은행, 무역 회사, 관공서,
호텔 건물이 들어섰다.
와이탄 영국 조계를 중심으로
미국 조계, 프랑스 조계, 공공 조계로 확장되어
1914년에는 1845년 보다 무려 18배나 커졌다.
난징조약
제1차 중영전쟁(아편전쟁)의 결과로 맺어진 조약이며 장닝조약[江寧條約]이라고도 한다. 청나라 임칙서가 아편무역을 금지시키고 영국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불태우자 영국은 함대를 이끌고 양자강 하구를 봉쇄하면서 침략하였다. 무능한 청나라 군대는 연전연패를 거듭하면서 6백만불의 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하였고 양쪽 군대가 모두 철수한다는 광동협정을 맺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중국민들의 반발이 곳곳에서 일어났고 영국군 사상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를 빌미로 영국군은 1842년 6월 상하이를 점령하고 난징으로 진격했다. 청나라는 영국과 굴욕적인 협상을 할 수 밖에 없었고 당시 난징에 정박 중인 영국 군함 콘월리스호(號)상에서 청나라 전권대사 기영(耆英)·이리포(伊里布)와 영국 전권대사 H.포틴저(1789~1856)가 난징조약에 조인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난징조약 [南京條約(남경조약)]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